강아지 승모판 폐쇄부전증 이란?

강아지의 승모판 폐쇄부전증 이란?

kimolzlolz11 2025. 7. 21. 00:32

강아지의 승모판 폐쇄부전증 이란?

 

강아지의 승모판 폐쇄부전증은 심장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 **승모판(mitral valve)**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이다. 이는 강아지 심장질환 중 가장 흔한 형태로, 특히 노령 소형견에서 매우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이 질환은 진행성(degenerative)인 특성을 가지며, 시간이 지날수록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으로 악화될 수 있다.


원인과 발생 위험군

주된 원인은 노화에 따른 승모판 구조의 변성이다.
판막이 두꺼워지거나, 탄력을 잃고 물결치듯 휘어지면서 정상적인 개폐 작용이 어려워지며 역류가 발생한다.

고위험군

  • 7세 이상의 노령견
  • 말티즈, 푸들, 치와와, 요크셔테리어, 시츄 등의 소형견
  • 유전적 요인도 관여 가능

병리기전 (어떻게 심장이 망가지는가)

정상 심장은 좌심실이 수축할 때 승모판이 닫혀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그러나 폐쇄부전이 생기면 다음과 같은 병적 경과가 시작된다:

  1. 좌심실 수축 → 승모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음
  2. 일부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
  3. 좌심방 내 압력 증가 → 심장확대(cardiomegaly)
  4. 심장 확대로 인해 폐정맥에도 압력 증가 → 폐수종(pulmonary edema) 발생
  5. 호흡곤란, 기침 등의 심부전 증상 유발

주요 증상

초기에는 무증상이지만, 진행되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진행단계주요 증상
초기 (Stage B1) 무증상, 청진 시 심잡음만 들림
중기 (Stage B2) 기침, 쉽게 피로함, 운동 시 호흡곤란
말기 (Stage C~D) 휴식 중 호흡곤란, 기절, 청색증, 폐수종
 

기침은 특히 밤이나 아침에 심해지며, 가래 섞인 마른 기침 형태로 나타난다.


진단 방법

승모판 폐쇄부전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음 검사를 시행한다:

  1. 청진: 좌심방 부위에서 심잡음(murmur) 확인
  2. 흉부 방사선(X-ray): 심장확대 여부 및 폐수종 확인
  3.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 승모판 역류량, 좌심방 크기, 심장기능 평가
  4. 혈압 측정 및 심전도(ECG): 부정맥 동반 여부 확인

이 중 심장초음파는 가장 핵심적인 진단 도구로, 승모판의 물리적 이상을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치료 방법

현재 이 질환은 완치가 불가능한 진행성 질환이다.
따라서 치료 목적은 증상 조절 및 진행 속도 지연에 있다.

약물 치료

약물 종류기능
피모벤단(Pimobendan) 심장 수축력 강화, 혈관 확장
엔알라프릴, 베나제프릴 ACE 억제제, 심장 부담 감소
후루세마이드(Furosemide) 이뇨제, 폐수종 개선
스피로놀락톤 알도스테론 억제, 이뇨 효과 강화
 
  • 폐수종이나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응급 이뇨제 투여 및 산소치료가 필요함.
  • 약물은 평생 복용이 기본이며, 상태에 따라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

관리 및 생활환경

질환을 진단받은 반려견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식이요법

  • 염분 제한 식단: 염분이 많으면 체액 증가로 심장에 부담
  • 심장 처방식 추천: 저염, 고단백, 오메가3 함유

 운동 및 체중관리

  • 무리한 운동은 금물
  • 과체중일 경우 체중 감량이 중요

 정기검진

  • 3~6개월마다 심장초음파 및 혈액검사
  • 증상 변화 시 즉시 내원

 예후

승모판 폐쇄부전증은 조기 발견 시 수년간 안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폐수종이 반복되거나 기절 증상이 나타나면 생존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약물로 조절이 가능한 Stage B2~C단계에서 진단받아 치료를 시작하면 예후가 상당히 좋다.

**수술(승모판 교체)**은 일부 국가에서는 시도되나, 국내에서는 일반적인 시술은 아님.


보호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점

  • 기침이 심해지거나 호흡수가 증가할 경우, 즉시 병원 내원
  • 밤에 자다가 호흡곤란, 혀가 파래짐(청색증) → 폐수종 가능성
  • 정기적인 영상검사와 복약 순응도가 예후를 결정함

요약

항목내용
주요 질환 승모판 역류로 인한 심장 질환
호발견 7세 이상, 말티즈·푸들 등
증상 기침, 호흡곤란, 피로, 기절
치료 약물로 평생 관리 (피모벤단, ACE억제제 등)
예후 조기 진단과 관리 시 수년 생존 가능
 

보호자가 질환을 정확히 이해하고, 꾸준한 관심과 함께

심장질환을 단순 노화의 일부가 아닌 치료 가능한 상태로 접근하는 것이 반려견의 삶의 질과 수명을 지키는 핵심입니다.

필요 시, 심장내과 전문 수의사의 지속적 진료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